韓国の看護師、アメリカの病院を目指す

 서울 한 대학병원에서 일하는 15년 차 간호사 이모씨는 지난 10월 일본 오사카로 가 미국 간호사 면허 시험을 치르고 왔다. ‘엔클렉스(NCLEX)’라고 불리는 이 시험은 해외에서만 응시가 가능하다. 한국 간호사들은 주로 가까운 일본에서 응시한다. 이씨는 서류 접수 비용으로만 508달러(한화 65만 원)를 썼다. 교통비와 교재비 등을 더하면 시험을 위해 쓴 돈은 150만원을 훌쩍 넘는다. 응급실 간호사인 이씨는 “노동 강도는 센데 임금이 지나치게 낮다. 더는 이렇게 살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독하게 시험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미국 취업을 준비하는 간호사들이 지난 2년간 8350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것에 비해 근무여건이 좋고 연봉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엔클렉스 준비를 위해 복지부에 간호사 자격 영문 증명서 발급 등을 신청한 건수는 지난 1월 1일부터 이달 20일까지 4443건(명)으로 집계됐다. 관련 전자 집계를 시작한 2022년에는 3907건(명)이었다.

간호사 자격 영문 증명서 발급은 미국 간호사 취업을 준비하는 첫 단계다. 복지부는 응시자의 접수를 받아 영문 증명서를 발급한 다음 관련 서류를 모아 압인해 미국 뉴욕교육국(NYSED)과 같은 미국 담당 기관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미국 간호사 자격을 따기 위한 문서 생산과 발송을 도와주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간호사들 “처우 개선 시급”


한국 간호사가 고국을 떠나는 이유로는 열악한 근무 조건이나 낮은 처우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5월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에 따르면 간호사 4명 가운데 3명꼴(74.1%)로 최근 3개월 사이에 이직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고려 사유로는 ▶열악한 근무조건과 노동강도(43.2%) ▶낮은 임금수준(29.4%)이 꼽혔다




ソウル5년 차 미국 간호사인 30대 강모씨는 “미국에서는 12시간씩 주3일 일 하기 때문에 자기 시간이 많이 난다”며 “한국에서 온 간호사들은 대체로 업무에 크게 만족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대한간호협회(간협) 관계자는 “미국은 급여 수준이 한국과 아예 다르고 여건도 좋아 미국 간호사를 선택하는 게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해외 유출 등 현장을 떠나는 간호사가 적지 않으면서 정부는 간호 인력 수급에 나선 상태다. 복지부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임상 간호사 수는 4.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2020년 기준) 8.0명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다. 간호사 업무 강도가 지금의 80%로 완화될 때 2035년까지 간호사 5만60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간호사 수급난에 따라 지난 11월 꾸려진 복지부 ‘간호인력 전문위원회’에서는 간호대 입학정원을 한시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2019년부터 매년 700년씩 정원을 늘려왔는데, 이 인원도 모자란다는 것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2025학년도 입시 때 1000명을 늘리는 게 목표”라며 “이달 말에서 내년 초쯤 정원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간호대 입학 정원은 2만3183명이다.

간협 관계자는 “매년 정원을 700명씩 늘려왔어도 현장 이탈 간호사가 너무 많아 이전 정책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도 같다”며 “처우가 괜찮은 병원이 수도권에 몰려있는 등 지역 의료 공백이 심각한 상황이다.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혜선·정은혜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ソウルのある大学病院で働く15年目の看護師イさんは10月大阪に行って米国の看護師免許試験を受けてきた。「NCLEX-RN」と呼ばれるこの試験は、海外でのみ受験が可能だ。韓国の看護師たちは主に近くの日本で受験する。イさんは書類受付費用だけで508ドル(約7万3000円)を使った。交通費と教材費などを加えると、試験のために使ったお金は150万ウォン(約16万円)をはるかに上回る。救急救命室の看護師であるイさんは「労働強度は強いが、賃金が低すぎる。これ以上このように生きることはできないと思い、必死に試験を準備した」と話した。


米国への就職を準備する看護師たちが、この2年間8350人に達することが分かった。韓国で活動することに比べて勤務環境が良く、年俸が高いという理由からだ。20日、保健福祉部によると、NCLEX準備のために福祉部に看護師資格英文証明書の発給などを申請した件数は1月1日から今月20日まで4443件ということが分かった。関連電子集計を始めた2022年には3907件だった。


看護師資格の英文証明書の発給は、米国看護師の就職を準備する第一段階だ。福祉部は受験者の受け付けを受けて英文証明書を発給した後、関連書類を集めて押印し、米ニューヨーク市教育局(NYSED)のような米国担当機関に送る役割を果たしている。福祉部関係者は「米国看護師資格を取るための文書生産と発送を支援する過程」と述べた。


韓国の看護師が故国を離れる理由としては、劣悪な勤務条件や処遇などが原因と指摘される。今年5月、全国保健医療産業労働組合によると、看護師4人に3人(74.1%)で、最近3カ月間離職を考慮したことが分かった。離職を考慮する理由としては▽劣悪な勤務条件と労働強度(43.2%)▽低い賃金水準(29.4%)が挙げられた。


5年目の米国看護師である30代のカンさんは、「米国では12時間ずつ週3日間働くため、個人時間が多い」とし、「韓国から来た看護師は大体業務に大きく満足する方」と伝えた。大韓看護協会(看護協会)の関係者は、「米国は給与水準が韓国と全く異なり、条件も良いため、米国の看護師を選択するのは特別なことではない」と述べた。


海外流出など現場を離れる看護師が少なくなく、政府は看護人材の需給に乗り出した。福祉部によると、人口1000人当たりの臨床看護師数は4.4人で、経済協力開発機構(OECD)国家平均(2020年基準)8.0人よりはるかに低い水準だ。看護師の業務強度が今の80%に緩和される場合、2035年までに看護師5万6000人が不足するものと政府は予想している。


看護師の需給難により、11月に構成された福祉部「看護人材専門委員会」では、看護大学の入学定員を一時的に増やす案を推進している。政府は2019年から毎年700年ずつ定員を増やしてきたが、この人員も足りないということだ。福祉部関係者は「2025学年度入試の時に1000人を増やすのが目標」とし「今月末から来年初めごろに定員を確定するだろう」と話した。今年の看護大学入学定員は2万3183人だ。


大韓看護師協会関係者は、「毎年定員を700人ずつ増やしてきたが、現場から離脱する看護師が多すぎて、かつての政策は『焼け石に水』ようなものだ」とし、「処遇の良い病院が首都圏に集中しているなど、地域医療の空白が深刻な状況だ。画期的な改善が必要だ」と述べた。

コメント

このブログの人気の投稿

ヨチヨチ歩きの見習い医師によって維持される韓国医療事情

韓国看護教育評価院とは